이에 대한 훌륭한 사례가 그의 노동 계급의 범죄와 일탈에 관한 연구다. 왜 노동 계급에서는 절도 범죄가 그토록 많은가? 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물질적 성공이라는 문화적 목표를 조장하기는 하지만, 낮은 사회 계급 집단에 정당한 기회를 거의 제공하지 않는 미국 사회에서 노동 계급의 범행은 그러한 상황에 처한 많은 젊은이들의 일종의 적응이라는 것이다. 체계가 조장한 물질적 성공을 성취하고자 했다는 사실은 그들이 사악하거나 구제불능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개조되어야 할 것은 사회구조라는 것이다. 이러한 명제로 머턴은 기능주의를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시키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갈등 이론에 한 걸음 다가섰다.
191231 현대사회학 (13).pdf
0.37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