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
일본전산의 이기는 경영 22
동철 김
2016. 4. 14. 15:09
고객의 원가 절감 요청, 즉 제품 가격에 대한 인하 요구나 갑작스러운 제품 사양 변경 혹은 납기 단축 등과 같은 의뢰가 있을 경우 공장 및 개발 부문의 반발이 종종 있다.
공장에서는 생산성 향상을 통한 제품 가격 인하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하고 싶을 테고, 납기를 단축시키면 생산 절차 및 시간 변경 등의 추가적인 노력도 필요해진다.
제품의 연구개발 부문에서는 급한 사양 변경은 품질 유지를 어렵게 하기 때문에 피하고 싶을 것이다.
사업소제 구조에서는 이런 이해의 대립을 영업부가 나서서 조정해 어떻게든 고객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한다.
하지만 고객의 요구와 회사의 이익에 대한 타협점을 찾기 위해 이익의 책임은 공장에 두고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가격을 내려달라고 요구할 경우, 영업부는 이익이 남는 선에서의 생산을 공장에 요구하고 공장은 자신들의 타산에 맞는 가격을 제시한다. 시장의 요구에 최대한 맞추면서 이익을 내야 하는 공장으로서는 스스로 생산원가의 절감과 제조공정의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구해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공장의 노력 여하에 따라 시장의 요구와 회사의 이익은 타협이 가능해진다.
사업소제의 표면적인 목적은 영업부가 열심히 뛰면서 시장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회사를 움직이게 하는 것이지만, 다른 면에서 보면 공장 및 개발 부문이 고객과 영업부의 어려운 요구를 들어줄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함으로써 그들의 창의성을 끌어올리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160318 일본전산의 이기는 경영 22.jpg
0.4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