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06
대량생산 제품과 달리 3D 프린팅 제품은 쉽게 맞춤생산이 가능할 것이다. 3D 프린터의 크기와 가격, 프린팅 속도라는 제약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으며, 회로판 같은 통합전자부품에서부터 심지어 인간 세표 및 장기까지 포괄할 정도로 적용 범위가 확장될 것이다. 연구자들은 이미 4D 프린팅 연구에 착수하여, 열과 습도 등의 환경 변화에 반응하는 능력을 갖춘 자가변형 기기의 출현이라는 새시대의 서막을 올렸다. 4D 프린팅 기술은 인체에 작응하도록 설계된 인플란트 같은 건강 관련 제품뿐 아니라 의류와 신발에도 활용될 수 있다.
최근까지만 해도 로봇의 역할은 자동차 등 특정 산업의 통제된 업무 수행에 국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정밀농업에서 간호사까지 전 분야에 걸쳐 광범위한 업무를 처리할 만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로봇공학의 급속한 진보는 인간과 기계의 협력을 일상적인 현실로 만들 것이다. 다양한 분야의 기술 발전에 힘입어 복잡한 생물학적 구조(자연 생물체의 특성과 원리를 산업 전반에 적용시키는 생체모방의 연장선상)을 차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로봇의 구조 및 기능적 디자인은 더욱 뛰어난 적응성과 유연성을 갖추어가고 있다.
센서의 발다로 로봇은 주변 환경을 더 잘 이해하고 그에 맞춰 대응도 하며, 가사 등 보다 폭넓고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자율유닛을 통해 프로그래밍되었던 과거와 달리 로봇은 이제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원격 정보에 접근이 가능하고, 다른 로봇들과 네크워크로 연결될 수있다. 차세대 로봇은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인간과 기계의 협업을 중점으로 개발될 것이다.
17030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