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33
병렬적 구조 혹은 개체가 이데올로기의 전파를 가능하게 하고 추종자를 모아 공식적인 정부 시스템에 대항하거나 혹은 거대한 세력을 규합할 수도 있다. 새로운 기술로 인해 경쟁세력은 성장하고 권력이 재분배 및 분산되면 정책 집행이라는 정부의 중심 역할이 점차 약해지거나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제 정부는 다양해진 서비스를 가장 효과적이고 개별화된 방식으로 시민사회에 제공하는 능력에 의해 평가 받는 공공 서비스센터로 그 역할이 바뀌게 될 것이다.
이전의 산업혁명 때와 마찬가지로 규제가 새로운 기술의 수용과 확산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정부는 규정을 만들고, 개편하고, 실행하는데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구시대에는 의사결정자들이 특정 쟁점을 연구하고, 필요한 대응 혹은 적절한 규제 체계를 구축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있었다. 모든 과정이 선형적이고 기계적인 상의하달식 접근법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다양한 이유로 이러한 방식이 불가능해졌다.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급속한 변화로 인해 규제 당국은 한 번도 겪지 못했던 수준의 문제에 직면했다. 오늘날 정치, 입법, 규제 당국은 기술 변화의 속도와 그것이 시사하는 바의 의미에 대처하지 못한 결과, 중요한 사건들에 의해 난관에 봉착한 상태다. 24시간 진행되는 뉴스시스템은 사안에 대한 견해를 밝히거나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기 때문에 리더가 원칙에 입각해 정확히 파악된 신중한 대답을 준비할 시간적 여유가 줄어들고 있다. 특히 거의 200개에 달하는 독립국가와 1,000개의 문화, 언어를 포괄하는 글로벌 시스템상에서 중대한 문제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한다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일이다.
17030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