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55
동철 김
2017. 3. 29. 18:43
실용적인 측면에서 리더는 칸막이식 관점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의미이다. 리더가 문제와 사안, 도전과제에 접근하는 방식은 반드시 총체적이고 유연해야 하며 적응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리더는 지속적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와 의견을 통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성공하기 위해 비즈니스 리더와 정책입안자들은 자기인식과 자기조절, 동기부여, 감정이입, 사회적 기술과 같은 능력을 갖춰야 한다. 이때 정서 지능이 필수적인 토대가 된다. 정서 지능에 대해 연구한 학계 교수와 연구진들은 훌륭한 의사결정자들은 정서 지능의 수준과 지속적 개발 능력 면에서 일반적인 의사결정자들과는 다르다고 말한다.
끊임없이 강력한 변화가 일어나는 세상에서 정서 지능이 높은 리더가 이끄는 조직은 창의적인 성향을 띠면서도 민첩함과 빠른 회복력을 갖출 것이다. 이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일어나는 파괴적 혁신을 마주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특성이다.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제도화할 수 있는 능력, 서열에 따른 계층구조를 수평화하는 능력, 새로운 아이디어를 독려하는 환경을 만드는 능력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사고방식은 전적으로 정서 지능에 달려 있다.
17030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55.jpg
17030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55.jpg
0.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