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58
동철 김
2017. 3. 29. 18:59
앞에서 세 가지 단계에 대해 확인한 것처럼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지역적, 국가적, 초국가적 차원의 지속적인 협력과 대화가 불가능하다면, 우리는 제4차 산업혁명의 최종 목적지에 도달할 수 없다. 우리는 기술적 측면만이 아니라 근본적인 요소들이 제대로 갖춰져 있는지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진화론자이자 하버드 대학교의 수학, 생물학 교수인 마틴 노왁 박사는 협력을 두고 인간을 구원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라고 상기시켰다. 협력은 40억 년 진화의 주요 설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인간은 협력을 통해 나날이 더해가는 복잡성 속에서도 적응할 수 있고,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결합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상당한 발전이 이루어진다.
다중이해관계자들이 효율적인 협력과 함께 제4차 산업혁명의 잠재성이 현재 세계가 직면한 주요 문제들을 다루고 해결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결국 모든 것은 사람과 문화, 가치의 문제로 좁혀진다. 문화와 국가, 소득계층을 넘어 모두가 제4차 산업혁명과 그것이 가져올 문명사회의 문제점에 대해 배워야 할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
인간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인간에게 힘을 실어주는 새로운 과학기술은 결국 사람에 의해, 사람을 위해 만들어진 가장 중요한 도구임을 항상 기억하면서 모두를 위한 미래를 함께 만들어나가야 한다.
17030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58.jpg
17030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58.jpg
0.3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