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8
동철 김
2017. 11. 11. 13:25
이 모든 것이 빈곤층 어린이가 모래주머니를 다리에 차고 인생의 경주를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빈곤한 부모를 위한 소득 지원, 보육 보조금, 빈곤 지역 학교에 대한 더 많은 투자 등 이들의 불이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보충해 주려는 사회적 장치가 없다면 빈곤층 아이들은 타고한 잠재력을 완전히 발휘할 수가 없다.
궁핍한 아동기를 극복하고 사회적 사다리를 오르기 위해 노력한다 해도 배경이 좋지 않은 사람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장애물을 만나게 마련이다. 불우한 환경에서 자란 사람들은 인맥이 부족하고 엘리트 계층과의 문화적 차이 때문에 고용과 승진에서 부당한 차별을 받기 일쑤이다. 이들이 만약 바람직하지 못한 특성까지 지니고 있다면 자신의 능력을 보여 줄 공정한 기회를 얻기는 더욱 힘들어진다.
돈을 극도로 많이 가진 부자들은 게임의 기본 규칙마저 다시 쓸 수 있는 힘을 갖는다. 이것은 합법적, 불법적으로 정치인 및 관직을 매수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부자 감세는 물론 금융 시장 및 노동 시장의 수많은 규제 완화는 이런 금권 정치의 결과이다.
171111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8).tif
2.7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