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

현대사회학 94

동철 김 2020. 1. 18. 17:00

사회가 변해 가면서 이에 기반을 둔 전통적인 믿음과 제도들 역시 변화하고 있다. 학교 교육, 즉 일정 기간 동안 정규 기관에서 구조적으로 지식을 전수하는 교육의 개념보다는 다양한 장소와 시기에 이뤄지는 넓은 의미의 학습이라는 개념이 더 유용해지고 있다. 교육에서 학습으로의 전환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학습자는 능동적이고 호기심이 넘치는 사회적 행위자로 단순히 제도적인 환경에 머무르는 게 아니라 다양한 곳에서 통찰을 얻는다. 학습자는 모든 종류의 만남에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한다. 친구나 이웃, 세미나나 박물관, 동네 술집에서의 대화, 인터넷을 포함한 여러 매체 등을 통해 학습자는 기술과 지식을 습득한다.

학교에서도 이제 평생 학습을 강조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교실 밖에서 배울 기회도 증가하고 있다. 학교 바깥 세계의 경계가 컴퓨터 가상공간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현실 세계안에서도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191231 현대사회학 (94).pdf


191231 현대사회학 (94).pdf
0.37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