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정부, 체제 그리고 정권
(1) 정부는 정돈된 통치가 유지되는 어떤 메커니즘이다. 정부가 가지는 중심적인 특징은 집단적 결정을 만들고 집행할 수 있는 능력이다. 하지만 정치체계 혹은 정권은 정부의 정치와 국가의 제도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더 큰 사회와 상호작용하는 구조와 과정을 포함한다.
(2) 정치체계의 분류는 두 가지 목적에 이용된다. 첫째, 정치체계의 분류는 비교를 가능하게 만들고, 형상이 없는 사실 사이에 존재하는 유사성과 차리를 뚜렷하게 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쉽게 이해하도록 한다. 둘째, 정치체계의 분류는 다른 정치체계가 가지는 효율성과 성공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준다.
(3) 정권은 다양한 기초 위에서 분류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유래하는 고전적 유형학은 헌법적 장치와 제도적 구조에 관심을 쏟았던 반면에 3개의 세계 접근방법은 제1세계 자본주의, 제2세계 공산주의, 제3세계 개발도상국에서 발견된 제도 사이의 물질적 이데올로기적 차이를 부각시켰다.
(4) 공산주의 붕괴와 민주화 진전으로 인해 현대세계의 정치적 외형을 확인하는 것이 더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모든 분류체계가 임시적이라 할지라도 정권이 가지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특징이 실제로 어떻게 서로 연관되는가를 기초로 정권을 구분하는 것은 아직도 가능하다.
(5) 역사의 종말 이론가는 서구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로 인해 역사가 끝났거나 끝날 운명에 처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정권의 유형은 더 복잡하고 다양해졌다. 현대세계에서 발견된 주요한 정권은 서구의 다두정, 탈공산주의 정권, 동아시아 정권, 이슬람 정권 그리고 군사정권이다.
(6) 민주화를 필연적인 과정으로 간주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한다. 일단 선동된 민주주의 개혁은 내적 계기를 획득하는데, 이 내적 계기는 경쟁적 선거들의 지지가 정치과정에 관한 공중의 기대감을 변화시키는 방식에서 유래한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다음과 사실을 을 지적한다. 많은 과도기적 국가들은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사이에 존재하는 회색지대에 아마도 영원히 남게 된다고 말이다.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14 (0) | 2017.02.18 |
---|---|
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13 (0) | 2017.02.18 |
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05 (0) | 2017.02.04 |
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04 (0) | 2017.02.04 |
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03 (0) | 2017.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