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민족과 민족주의
(1) 민족은 문화적, 정치적 요소들의 결합에 의해 정의된다. 문화적으로 민족은 공통의 언어, 종교, 역사, 전통에 의해 함께 묶여진 인간집단이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민족은 고전적으로 주권을 달성하거나 혹은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로 표현되는 공유된 시민의식의 존재를 통해 자기를 규정한다.
(2) 특징적인 문화적, 정치적 형태의 민족주의가 확인될 수 있다. 문화적 민족주의는 독특하고 역사적이며, 유기적 전체로서 민족에 대한 믿음을 기초로 하나의 특징적인 문명화로써 민족의 부활을 강조한다. 다른 한편으로, 정치적 민족주의는 민족을 분리된 정치공동체로 인식한다. 그리하여 정치적 민족주의는 주권, 자결과 같은 이념과 연결된다.
(3) 어떤 정치사상가는 민족주의를 산업화와 민주주의의 부흥과 관련된 현대적 현상으로 묘사한다. 반면에 다른 정치사상가는 민족주의를 전근대적인 인종적 충성과 정체성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민족주의가 지니는 성격은 상당히 변하였고, 민족주의가 일어났던 역사적 환경과 민족주의가 매료되었던 정치적 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4) 정치적 민족주의의 대조적인 표현이 수없이 존재한다. 자유민족주의는 자치라는 보편적 권리에 대한 믿음에 기초한다. 보수적 민족주의는 사회적 응집력과 정치적 통일을 제공하는 민족적 애국주의의 능력을 평가한다. 팽창적 민족주의는 공격과 제국주의적 정복을 위한 매개수단이다. 반식민지 민족주의는 민족적 해방을 위한 투쟁과 관련되며, 사회발전을 위한 노력과 종종 융합된다.
(5) 전 세계에 걸쳐 가장 넓게 승인된 정치조직의 형태는 국민국가다. 국민국가는 종종 유일하게 정당한 정치지배의 단위이다. 민족주의가 지니는 강점은 민족주의가 문화적 응집력과 정치적 통일에 대한 기대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민족주의는 공통의 문화 혹은 인종적 정체성을 공유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독립과 자치정부에 대한 권리를 행사하도록 한다.
(6) 국민국가는 현재 수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 국민국가는 인종정치의 성장에 의해 발생된 원심적 압력에 예속되었다. 외적으로 국민국가는 증대하는 초국가적 집단의 권력과 경제적, 문화적 지구화의 발전으로 인해, 또 환경위기에 대한 국제적 해결책을 찾고자 하는 필요에 의해 도전을 받았다.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13 (0) | 2017.02.18 |
---|---|
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12 (0) | 2017.02.18 |
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04 (0) | 2017.02.04 |
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03 (0) | 2017.02.04 |
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02 (0) | 2017.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