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므로 경영진은 '자신이 할 수 있는 일', 즉 항상 새롭게 변화하는 업계에 관심을 두고 '개척할 시장'을 찾는 것에 몰두하면서, 스스로 너무 강압적이 되거나 반대로 너무 무기력해지는 것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한 단계 아래 직원의 일을 주시하고 독려하면서, 리더가 스스로가 한발 앞서 나가는 모습을 보여줄 때, '매력적인 인재'로서의 역할모델이 될 수 있다.
- 메기 이론
회사, 경영자, 관리자, 직원들 스스로가 때로는 잉어가 되고, 때로는 메기가 되어 서로의 '현재'에 대한 자극을 제공해야 한다.
- 메기가 발동되어야 하는 '나태한 잉어의 습관'
출신에 안주 학교 성적에 안주 이제까지 배운 것에 안주 지금까지의 경험에 안주 외모에 안주 직위에 안주 과거의 실적에 안주 인맥에 안주 접대에 안주
-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는 메기 법칙
* 머리를 쓰는 사람, 제안해서 공헌하는 사람, 시도해 실수하는 사람, 결국에는 만회하는 사람에게 가점을 준다.
* 그 결과 실력이 향상되고, 일을 통해 활력이 생겨나고, 새로운 기술이 축적되고, 아이디어가 생겨나고, 신상품이 탄생하고, 실적이 향상되고, 고객이 창출되고, 회사 전체의 복리후생이 좋아진다.
목표는 선명할 수록 좋다.
달성할 목표가 없으면, 직원들은 전진하려고 하지 않는다.
회사가 앞으로 어떻게 나아갈 것인지 그림을 그릴 수 없다면, 직원들은 회사를 떠난다.
160123 일본전산 이야기 063.jpg
0.37MB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전산 이야기 065 (0) | 2016.03.01 |
---|---|
일본전산 이야기 064 (0) | 2016.03.01 |
일본전산 이야기 062 (0) | 2016.03.01 |
일본전산 이야기 061 (0) | 2016.02.29 |
일본전산 이야기 060 (0) | 2016.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