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

19세기의 마르크스 자본론 21

동철 김 2016. 4. 16. 12:12

상품생산 중에 자본주의적 생산이 생기는 까닭은 노동력상품이 시장에 발생하는 것에 의해서라는 뜻이다.

즉, 자본은 노동력상품의 존재를 빼고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노동력상품은 어떤 가치를 갖는가?

우선 그 상품 가치인데, 그것은 그 상품의 소유자인 인간이 살아가는데에 필요한 재생산의 비용에 의해 결정된다.

재생산에 필요한 값, 다시 말해 노동시간이야말로 그의 교환가치가 된다.

물론 그 가치는 때와 장소에 따라 다르다.

또 그 노동자의 질에 의해서도 다를 것이다.

객관적인 논의는 할 수 없다.

나라별 문화 단계에 의존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상품의 사용가치는 무엇인가?

재생산 비용이 그 교환가치라고 한다면 사용가치는 자본가 아래에서 일을 하여 무엇인가를 만들고 있는 노동이라는 말이 될 것이다.

자본가라고 하는 상품 매수자에게 그것은 무엇보다도 그의 욕망을 충족하는 사용가치이기 때문이다.

이 사용가치는 구체적으로 노동자가 일을 하고 있는 총 노동시간이 된다.

만일 그 시간 모두의 가치에 자본가가 대가를 지불하면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는 일치하게 되지만, 그렇게 되면 자본가가 노동자를 고용하는 의미가 없다.

당연히 교환가치로서, 즉 노임으로 지불되는 액수는 그보다 적을 것이다.

대개의 경우 먼저 지불하고 일을 시키지는 않는다.

우선 일을 시켜 놓고 그 노동력의 지출을 보면서 임금을 지불한다.

말하자면 후불이다.

먼저 지불을 하면 이 상품은 도망가 버리고 만다.

이렇게 해서 저 유통의 부자연스러운 등가교환의 문제도 사라진다.

이는 노동력의 사용가치와 교환가치의 차이에서 생겨나는 것이다.

모든 수수께끼가 해결된 셈이다.

인간세계의 부는 또한 인간에게서 생긴다.

그것도 인간을 착취함으로써.

 

 

 

 

160321 19세기의 마르크스 자본론 21.jpg

 

160321 19세기의 마르크스 자본론 21.jpg
0.4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