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는 노동력의 어느 부분을 대체하게 되는 것이므로, 당연히 그 한계는 노동력보다 싸다는데 있다.
노동력 쪽이 싸면 구태여 기계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환언하면 법률 등으로 노동이 보호되면 노동력의 가치는 올라가서 그 대타로 기계가 투입되는데, 보호 없이 노동력의 가치가 기계보다 내려가면 기계는 투입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해 마르크스는 재미있는 예를 들고 있다.
이 사례는 어떻게 되든 상관없는 싼 노동에는 기계가 오히려 투입되지 않는 일이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
영국에서는 나룻배를 끄는 데에 지금도 말 대신에 여자들이 고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말이나 기계의 생산에 필요한 노동은 수학적으로 주어진 비용이지만, 과잉인구의 여자들을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노동은 마음대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160321 19세기의 마르크스 자본론 37.jpg
0.39MB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세기의 마르크스 자본론 39 (0) | 2016.04.19 |
---|---|
19세기의 마르크스 자본론 38 (0) | 2016.04.19 |
19세기의 마르크스 자본론 36 (0) | 2016.04.19 |
19세기의 마르크스 자본론 35 (0) | 2016.04.19 |
19세기의 마르크스 자본론 34 (0) | 2016.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