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정치이념과 이데올로기
(1) 이데올로기는 때때로 부정적 의미를 가졌던 논쟁적인 정치용어다. 사회과학적 의미에서 정치이데올로기는 조직적인 정치행동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는 다소 일관적인 이념이다. 이데올로기가 지니는 중심적 특징은 현존하는 권력관계에 대한 설명, 원하는 미래에 대한 모델, 그리고 어떻게 정치변화가 초래될 수 있고 초래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관이다.
(2) 이데올로기는 정치이론을 정치적 실천과 연결시킨다. 어떤 수준에서 이데올로기는 가치, 이론, 교리의 집합, 즉 특징적인 세계관을 구성한다는 의미에서 정치철학과 비슷하다. 하지만 다른 수준에서 이데올로기는 포괄적인 정치운동의 형태를 취하며, 정치지도자, 정당, 집단들의 활동을 통해 접합된다.
(3) 모든 이데올로기는 특징적인 원칙과 이념의 장치와 연관될 수 있다. 이 이념은 특징적인 방법으로 서로 연결된다는 의미에서 '함께 걸려' 있지만, 이념은 상대적 의미에서 단지 체계적이며 응집적이다. 그리하여 모든 이데올로기는 경쟁적 전통과 내적 긴장의 범위를 구체화한다. 따라서 이데올로기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은 종종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보다 더 치열하다.
(4) 이데올로기는 결코 완전하게 봉쇄되지 않으며 불변적인 사상체계가 아니다. 이데올로기는 여러 가지 점에서 서로 중복되고 종종 관심과 공통의 어휘를 공유한다. 또한 이데올로기는 항상 정치적 혹은 지적 갱신에 종속된다. 왜냐하면 이데올로기는 다른 이데올로기와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데올로기는 변화하는 역사적 환경에 적용될 때 시대를 통해 변화하기 때문이다.
(5) 특별한 이데올로기가 가지는 의미는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과 이론적 혁신을 위해 이데올로기가 지니고 있는 능력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부흥하고 쇠퇴한다. 20세기 동안과 그 이후의 발전은 자유주의, 보수주의, 사회주의 같은 주요한 이데올로기들이 가지고 있는 전통적 원칙들을 재검토하게 하였다. 약 1960년대 이후 이데올로기적 전망은 이른바 여성주의, 녹색정치, 세계주의 같은 신이데올로기들의 출현과 비서구적 이념과 이론들의 이데올로기적 중요성에 대한 점증하는 인식을 통해 변형되었다.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04 (0) | 2017.02.04 |
---|---|
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03 (0) | 2017.02.04 |
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01 (0) | 2017.02.04 |
19세기의 마르크스 자본론 69 (0) | 2016.04.19 |
19세기의 마르크스 자본론 68 (0) | 2016.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