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27

동철 김 2017. 3. 25. 12:15

신소재가 자산의 내구성과 탄력성을 높이는 것처럼, 데이터와 분석기술도 점검 및 보수의 역할을 변화시키고 있다. 자산에 내장된 센서의 분석기술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사전 점검 및 보수가 가능해지면서 자산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었다. 더 이상 특정 결함을 찾아내는 데 초점이 맞춰진 것이 아니라, 장비의 일부가 표준 운영 틀에서 벗어나는 순간 바로 표시되는 성능 벤치마크를 활용하는 데 초점이 놓여 있다.


점검 및 보수에 더해 자산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데이터 분석은 자산 운영에 있어 허용되는 오차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주고, 기업의 니즈에 핵심적이거나 전략적이지 않은 제품을 아웃소싱할 근거를 마련해 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자산의 성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측정되고 관찰된다.


트럭 회사의 경우을 예로 들어보자. 장거리 운송업자는 주기적으로 새 타이어를 구매하는 것보다 1,000킬로미터 도로주행을 기준으로 타이어 제조업자에게 돈을 지불하는 제안에 더 관심이 있다.




17030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27.jpg


17030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27.jpg
0.3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