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

현대사회학 87

동철 김 2020. 1. 18. 16:03

나쁜 뉴스는 노사 관계를 다룬 뉴스는 선별적이고 편향된 형태롤 보도되었다고 결론 내렸다.


또한 나쁜 뉴스는 뉴스를 편성한 사람들이 특정한 해당 의제를 걸러내는 즉 일반 대중이 접하는 뉴스 내용을 모두 선택하는 수문장 역할을 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를테면 노동자와 경영진의 첨예하게 상반된 이해관계로 인한 파업이라면, 전 과정이 자세히 보도되지만, 보다 시간적 연계 고리가 있고 장기간에 전개된 다른 부류의 노사분쟁은 대개 무시되었다. 뉴스 저널리스트의 견해는 중간 계급 배경을 반영하는 경향이 있고, 파업 노동자들을 위험하고 무책임하다고 여기는 지배집단의 시각을 지지한다.


그 연구는 갈등을 보도하는 TV 뉴스가 시청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이스라엘 정부의 관점을 상당히 보여 주었다고 결론지었다. 적절한 맥락을 제공하는 갈등의 기원에 관한 내용이 거의 없었고, 특히 BBC1에서는 이스라엘의 공식 입장으로 편향된 편견이 있었다. BBC1은 팔레스타인 사람들보다 이스라엘 사람들을 지지하는 미국 정치인들까지도 보도했다. 또한 그 연구는 이스라엘 사람들보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두세 배 더 죽었지만, 팔레스타인 사상자보다 이스라엘 사상자를 더 보도했음을 발견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공격을 다루는 기자들의 언어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어 기자들은 팔레스타인 행위를 테러리즘으로 보도했지만, 팔레스타인 학교에 폭탄을 던지는 이스라엘 집단의 행위는 극단주의자 혹은 민병대로 보도되었다.  이러한 결과물들이 주는 메세지는 뉴스 보도가 절대로 중립적이거나 객관적이라고 생각될 수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뉴스 보도는 뉴스가 존재하는 불평등한 사회를 반영하고 체계적으로 편향되어 있다고 봐야 한다.




191231 현대사회학 (87).pdf


191231 현대사회학 (87).pdf
0.46MB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사회학 89  (0) 2020.01.18
현대사회학 88  (0) 2020.01.18
현대사회학 85, 86  (0) 2020.01.18
현대사회학 84  (0) 2020.01.18
현대사회학 83  (0) 2020.01.18